들어가기 전에 저번에 라이브러리를 다시 제작하는 이유와 개발을 할 때 중점으로 고려해야할 사항들에 대해서 소개를 하였습니다. 이번에 멀티모듈을 어떻게 적용을 했는지에 대해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멀티모듈 적용 멀티모듈을 적용하려한 이유는 각 기능들을 관심사 별로 분리하고자 하기 위함입니다. 많은 Class들과 비슷한 기능들에 대해서 묶어서 관리하는 것이 개발 생산적인 측면에서 유리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멀티모듈을 적용할까 했었는데.. 이는 사실 2가지의 어려움이 생기게 되었습니다.. 일단 멀티 모듈 적용을 하고자 했던 예시는 설명드리겠지만 어려움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자면 다른 Spring 라이브러리들 중 멀티모듈을 적용한 예시를 보면 그에 더 많은 기능과 코드들이 있었습니다. 굳이 멀티모듈을 ..
들어가기 전에 기존에 OurBoard 라는 이름의 라이브러리를 만들어보면서 연습한 적이 있습니다. 간단히 OurBoard 라이브러리에 대해 설명을 드리자면 Django의 admin 라이브러리의 역할을 해주는 Spring용 admin 라이브러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여러가지의 효용성을 이 라이브러리를 만들면서 높이고 싶었는데 - Django를 Spring보다 먼저 시작하는 이유는 배움의 시작이 더 쉽기 때문이 아닐까? - Java보다는 Python을 익히면서 개발하는 것이 좀 더 편하기 때문이지 않을까? - Django에서는 admin을 통해서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조회하거나 확인하고, 기본적인 CRUD, Sorting, Filtering 을 제공 해주다보니 대시보드를 따로 개발자가 만들지 않아도 되서..
들어가기 전에 Redis를 예전에 웹서비스를 만들 때 한번 사용해본 적이 있었습니다. 기능중에 간단한 채팅기능을 만들어야하는 일이 있었는데 단순히 Docker에 Redis image를 띄어서 사용하면 된다 라는 블로그글을 무작정 따라하며 사용해본 것이 처음 사용해본 경험이었는데... 사실 정확히 Redis를 어떻게 써야하는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잘 모르고 사용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Redis의 개념과 구조에 대해서는 추후 다시 다뤄볼 예정이고 이번에 쓰는 글은 Redis를 통해서 캐싱을 어떻게 하는지 그리고 실제 시간은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서 다뤄볼까 합니다. 1. Redis Redis는 Memory 기반의 Key-Value 비관계형 데이터 베이스입니다. 캐싱, 세션 관리, 메시지 큐 등에서 활용이 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