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reo
'java' 태그의 글 목록

java

디자인패턴

Composite Pattern

들어가기 전에 Composite Pattern도 사실 Interface를 잘 알고 나서 시작하면 좋을 듯 합니다..! 1. Composite Pattern 컴포지트 패턴 (Composite pattern)이란 객체들의 관계를 트리 구조로 구성하여 부분-전체 계층을 표현하는 패턴으로, 사용자가 단일 객체와 복합 객체 모두 동일하게 다루도록 한다. - 위키백과 Component : Client가 Composite 오브젝트를 다루기 위한 인터페이스. 집합 관계에 포함시킬 수 있는 객체의 인터페이스. Leaf: 자식이 없는 객체의 행동을 정의. 트리구조상 맨 밑에 부분. Composite: 자식이 있는 객체의 행동을 정의. 약간 말이 어려울 수 있는데 객체들로 이루어진 트리를 가진 패턴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

디자인패턴

Strategy Pattern

들어가기 전에 전략패턴을 처음 들어본 것은 예전에 Java 스터디를 하면서 Next Challenge 과제 중 레이싱게임을 구현하는 것을 연습해보면서 였던 것 같다. 코드 리뷰 중에 레이싱카의 움직임에 대해 전략 패턴을 사용하면 어떠냐 라는 리뷰를 받은 적이 있었는데 그 때에는 전략 패턴이 왜 필요해서 써야되는지 감이 안 온 상태로 접근하게 된 것 같다. 이번에 전략 패턴에 대해서 정리해보고 전략 패턴이 객체지향관점에서 어떤 장점이 있는지 다뤄볼 예정입니다. 1. Strategy Pattern 기본 설명 전략 패턴의 기본적인 Flow는 아래의 이미지와 같습니다. 결국에 Interface를 쓰고 유연하게 그리고 느슨한 결합을 통해 설계를 할 수 있는 부분이 있는데 기존의 코드를 작성할 때와의 차이점을 한번..

디자인패턴

Observer Pattern

들어가기 전에 Observer Pattern과 유사한 패턴이 Pub/Sub 패턴인 것 같은데 Observer Pattern을 사용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장점과 단점으로 정리를 할까 합니다. 이 Observer Pattern이 어떻게 사용되는지 알면 좋을 것 같아서 Java 예제를 통해서 정리할 예정입니다. 1. Observer Pattern 개념 옵저버 패턴(Observer Pattern)은 객체의 상태 변화를 관찰하는 옵저버(관찰자)들의 목록을 객체에 등록하여 상태 변화가 있을 때마다 notify를 통해 객체가 직접 목록의 각 옵저버에게 통지하도록 하는 디자인 패턴 출처 : https://zerocodings.com/22#:~:text=%EC%98%B5%EC%A0%80%EB%B2%84%20%ED%8C%..

Web

JWT 사용법

들어가기 전에 REST API를 개발하는 입장에서 JWT는 한번쯤은 들어봤거나 JWT를 사용해서 인증을 하는 작업을 해보셨을 거라 생각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JWT에 대한 개념과 JWT를 어떻게 사용하면 좋을지에 대해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01. JWT 1.1 개념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서 통신할 때 권한을 위해 사용하는 토큰입니다. Self-contained 방식으로 JWT안에 인증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자체적으로 지니고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JWT를 사용하는 부분에 대해서도 문제점이 있긴 하지만 Cookie또는 Session 기반 인증에서 문제점이 드러났기 때문에 JWT를 많이 사용합니다. (그렇다고 해서 JWT기반 인증 시에 Cookie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Cookie의 경우에..